라벨이 AWS인 게시물 표시

AWS EC2 인스턴스에서 ROOT 계정을 활성화

이미지
EC2인스턴스에서는 ec2-user만 활성화되어 있고 root 계정은 비활성화가 되어있다 (sudo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권한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root계정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을수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다) 명령어를 복사해서 리눅스창에 마우스 우클릭하면 복사한 명령어를 붙여넣기가 가능하다 1.먼저 ec2-user로 접속한다 2.sudo passwd root (루트계정의 패스워드 설정) 3.sudo vi /etc/ssh/sshd_config 입력하여 sshd_config를 편집한다 sshd_config에 들어가서 # PermitRootLogin 의 주석을 삭제한다 ( # PermitRootLogin -> PermitRootLogin ) vi 편집기 명렁어 * /찾을 내용 (# PermitRootLogin입력하면 # PermitRootLogin를 빠르게 찾을수 있다 * i, a 를 누르면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 : wq 입력하면 저장후 종료할 수 있다 4. sudo mkdir /root/.ssh 로 파일 생성 (File exists라고 나오면 이미 생성된 경우로 넘어가도 된다) 5. sudo cp /home/ec2-user/.ssh/authorized_keys /root/.ssh로 유저 인증키 복사 그후 sudo service sshd restart로 sshd를 재시작 한다 6.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AWS 기능 (아마존 웹 서비스)

이미지
*컴퓨팅 1. EC2(Elastic Compute Cloud) Amazon Elastic Compute Cloud(EC2)는 탄력적인 컴퓨팅 서비스이다 빠르고 쉽게 원하는 사양의 서버를 구축,변경,삭제,추가등이 가능하다 다양한 제어기능을 제공 CLI , API 관리가 편하다 기본 모니터링과 CloudWatch같은 세부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로그 수집, CPU,GPU,네트워크 트래픽,데이터 입출력,디스크 사용량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그래프로 정보를 제공한다 변경,수정,확장성이 좋다 이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하다 언재는지 필요한 자원을 추가할 수 있고 즉각적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자동화 기능 Auto Scailing같은 자동으로 확장 및 축소나 CPU나 네트워크 트래픽같은 자원이 일정수준 이상 도달시 경보나 알림기능 제공 2. Lambda AWS Lambda는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코드를 실행하고 자동으로 기본 컴퓨팅 리소스를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AWS Lambda를 사용하면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스토리지 높은 안정성과 확장성 클라우드 서비스의 스토리지는 기본적으로 높은 안정성 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내구성이99.9%) (쉽게 용량 증가,축소 가능) AWS의 스토리지는 여러곳에 분산되어 저장되기 떄문에 자연재해나 화재에 대해 비교적 안전하다(A가용영역에 저장했으면 최소 10km이상 떨어진 다른 가용영역(B,C)에 분산되어 저장한다) 모니터링 기본 모니터링과 CloudWatch같은 세부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1. S3 (Simple Storage Services)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범용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데이터 보관,정적인 웹 호스팅등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이미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현실에 존재하는 물리적 장비를(CPU,GPU,Memory등등) 빌려서 가상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실제 장비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게 있고 나는 인터넷을 통해 빌린 장비에 직접 찾아가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생성,삭제,변경,운영같은 관리를 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대표적인 회사들로는 아마존 , 마이크로소프트 , 구글 , 알리바바 , 네이버등등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 *초기 투자비용이 적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장비를 구매하는것이 아니라 빌리는 형식이고 내가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비싼 물리적 장비를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 * 확장과 축소가 쉽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클릭 몇번이면 CPU,GPU,Memory등등 하드웨어적 자원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쉽게 서버를 생성 삭제가 가능하고 서버의 용량이 부족하거나 낭비가 되더라도 쉽게 삭제,축소,증가를 할 수 있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예를들어 스타트업같은 회사들은 사용자들이 얼마나 있고 얼마만큼 자원이 필요한지 예측하기가 힘들다 이럴떄 확장과 축소성이 좋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민첩성이 좋다 예를들면 직접 물리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서버를 운영하려면 먼저 1.서버장비를 어느 회사제품을 사용할지 결정 2.장비의 스펙은 어떤걸로 할지 결정 3.장비 구매 4.장비 배송 5.장비 설치 과정이 발생하며 짧게는 몇주 길게는 몇달이 걸린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인터넷을 통해 한번에 1,2,3,4,5과정이 진행가능하며 4,5과정은 장비를 구매하는것이 아닌 이미 구축된 장비를 빌리는것 이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해 짧게는 몇분 길게는...

AWS EC2 (아마존 웹 서비스)

이미지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이다 ELASTIC 은(탄력적) 필요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의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것을 나타낸다 COMPUTE 는 컴퓨팅 또는 서버 리소스를 뜻하며 *Application Server *Web Server *Database Server *Game Server *Mail Server *Media Server *Catalog Server *File Server *Computing Server *Proxy Server *Etc. 등등 기능을 할 수 있다 CLOUD 는 클라우드에서 호스팅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화 서버를(virtual Server) 인스턴스라(Instance) 부른다 특징 EC2의 특징은 -1개에서 수천 개의 인스턴트 또는 수천개에서 수십 수백으로 줄이고 늘리는 탄력성이 있다 -모든 공개된 AWS 리전에서 사용가능 (AWS가 운영하는 리전이 있는곳이면 멀리있는 다른 국가라도 서버를 운영할수 있다) -인스턴스의 생성,시작,수정,중단,삭제가 가능하다 -리눅스/윈도우 OS모두 사용가능하며 모든 소프트웨어를 설치 가능하다 -사용량에 따른 시간 단위 비용이 든다 EC2의 요금은 Pay as you go 이다 즉 사용한 만큼만 돈을 내는 것 이다 EC2를 종료할 경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양한 비용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온디맨드 , 예약 , 스팟) 비용타입 EC2는 다양한 비용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온디맨드 (on-demand) - 필요할 때 바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시간당 비용을 지불한다 (서버를 자주 삭제 또는 생성하는 환경일때 좋다) 예약(Reserved) - 1년 또는 3년의 기간에 대한 약정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