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Physical Layer인 게시물 표시

2. 1계층 Physical Layer (물리적 계층)

Physical Layer (물리적 계층)은  기기간 물리적 링크를 작동, 유지, 해제시키는 것과 관련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규격을 정의한다 물리 계층의 역할은 직접 연결된 두 장비 간의 통신신호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들면 100Base-Tx 표준에 따르면 신호의 전압이 2V 이상이면 1을, 0.8V 이하면 0을 의미한다고 한다 관리자가 지정한 전압과 다른 전압이 나오면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외부 간섭,전기적 신호끼리의 충돌등등 으로 인한 전압의 변화) 전송 도중 에러가 발생했을 때 복구하는 것이나, 신호의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해석하여 그에 따라 적절하게 동작하는 것은 상위 계층에서 할 일이다 요약: 물리계층의 동작범위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인접장비까지 이고 통신신호를 만들고 송수신 하지만 그 의미를 해석할수는 없다 (물론 단순한 표현은 물리계층에서 가능하다) 예: 전압이 20V일때 정상표시 LED 초록색등 전압이 10V일때 비정상 LED 빨간색등 친척분들중 소방안전관련 업체를 운영하시는 분이 있으셔서 잠깐 알바하면서 화재수신기를 만져본 적이 있었는데 P형 1급 화재수신기를 열어본 적이 있었다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이 천장에 붙어있는 감지기들이 항상 20~24V 전압을 유지하다가 연기나 열을 감지하면 전압이 없어져버린다(단선) (대부분 감지기들은 1회용으로 신호가 들어오면 회로가 끈어진다) 보통 이 회로들을 소화전에 층별로 묶어서 연결하는데 소화전에서는 연결된 회로들중 1개라도 단선이 되면 회로를 닫아버린다(단선) 소화전은 연결되어 있는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있는데 화재수신기는 20~24V이하나 이상일때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화재신호를 띄운다 이 이야기를 왜 하냐면 간단한 신호를 구분할때는 복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