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본인 게시물 표시

인터넷 , 인트라넷 , 엑스트라넷

인터넷(Internet) 인터넷의(Internet) 의미는 Inter(인터)-연결 , International(인터내셔널)-국제적인 을 참고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인터넷은 여러개의 네트워크의 연결을 의미한다 각 회사나 단체들이 자신들의 정보를 공유하고자 만들었던 네트워크를 좀더 국제적으로 (많은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려고 서로 연결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을 인터넷이라 불렀다 인터넷의 특징은 하나의 프로토콜만 사용한다는 것이다 프로토콜이란 규칙,규약 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한국의 언어는 한국어고 미국의 언어는 영어다 한국사람과 미국사람이 서로 자국어를 하면 의사소통이 안되지만 같은 언어(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TCP/IP가 있다 인트라넷(IntraNet) 인트라넷은 Intra(내부의)뜻을 알면 이해하기 쉽다 쉽게말해 내부의 네트워크라고 보면 된다 회사나 특정 단체들만 사용하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하면 된다 회사의 업무 보고 , 휴가 신청 , 연락처 , 메신저 , 등등 회사나 단체내에서만 정보공유를 한다 인터넷과 인트라넷의 차이점은 인터넷은 국제적으로 공개되어있지만 인트라넷은 내부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즉 회사의 인트라넷이라면 해당 회사가 허가한 사람만 인트라넷에 접속이 가능하다 인터넷과 마찬가지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것을 이용해 굳이 회사에 있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인트라넷에 접속해(허용된 사용자만) 회사의 업무를 처리할수 있다 엑스트라넷(ExtraNet) 인트라넷에서 범위를 확장시킨것이 엑스트라넷 이다 인트라넷은 회사의 직원들만 사용이 가능했다면 엑스트라넷은 회사의 직원은 물론 직원 이외에도 협력회사나 회사의 고객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인트라넷의 범위를 확장시킨것이다 ...

LAN 과 WAN

LAN LAN이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Local(지역의,지방의) , Area(구역) , Network(망)으로  특정 지역의 네트워크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한정된 공간의 네트워크라고 보면 된다 (인트라넷은 LAN기반의 통신이다) LAN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아도 같은 LAN끼리의 통신이 가능하고 MAC주소로 출발지(송신자)와  목적지(수신자)를 구분한다 WAN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wide(넓은) , Area(지역) , Network(망) 이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LAN과 LAN을 연결시켜주는것이 WAN 이다 국제적으로(다수의 LAN)연결하면 인터넷이 되는거고 본사(LAN)와 자사(LAN)과 연결하면 인트라넷이다 정리 LAN은 내부 통신이고 LAN과 LAN 끼리 연결하는것이 WAN이다

유니캐스트,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유니캐스트는 송신자가 수신자와 1대1 송수신을 하는것을 의미한다 통신을 위해 전송되는 프레임안에 항상 출발지 주소(mac,ip)와 도착지 주소(mac,ip)가 들어있다 유니캐스트는 프레임안에 출발지 주소와 도착지 주소를 넣어서 도착지 주소와 일치하는 사용자만 데이터를 수신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유니캐스트이다 LAN네트워크에 A,B,C,D 사용자가 있을때 (허브나 스위치로 연결) A가 D에게만 데이터를 보내고자 할때 유니캐스트를 사용한다 전송할 데이터안에 출발지A와 목적지D 주소를 넣어 주소가 일치하는 D만 수신한다 D가 수신하는 방법은 랜카드에서 자신의 mac주소와 데이터의 목적지 mac주소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CPU에 올려보낸다 B 와 C 는 각각 B와 C에 있는 PC의 랜카드에서 차단한다 - 효과: 랜카드에서 차단하기때문에 CPU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PC의 성능저하가 없다 브로드캐스트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같은 네트워크의 범위는 라우터에 의해 구분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말한다 브로드 캐스트 주소는 미리 정해져 있는데 FFFF.FFFF.FFFF(mac 주소)이다 이 주소가 오면 자신의 맥주소가 아니더라도 랜카드는 CPU에 데이터를 보낸다 주의할점 브로드캐스트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데이터(프레임)을 전송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네트워크상의 전체적인 트래픽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가 데이터를 수신을 하기 때문 사용자의 CPU의 이용률이 올라가 pc의 성능이 저하될수 있다 (브로드캐스트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는 예를 들면 두 PC간에 통신을 하는 경우  PC에 연결된 허브나 스위치의 맥 테이블에 없을 경우 맥 주소를 찾기위해 ARP(Address Resolution Pr...

클래스 풀 , 클래스 리스 , 서브넷 설계

네트워크는 클래스로 나뉘어있다 이것을 클래스 풀 이라고 한다 *클래스 범위: A(1.0.0.0-126.0.0.0) B(128.0.0.0-191.255.0.0) C(192.0.0.0-223.255.255.0) 순으로 D와 E가 있지만 D는 멀티캐스트 주소로 사용되고 E는 연구용으로 사용된다 사용할수 있는 IP주소는 A,B,C 클래스이다 하지만 A클래스 처럼 너무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가 하나의 클래스에 묶여있다보니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힘들었고  IP주소 낭비가 심했다 그래서 생겨난 방법이 서브넷을 표기하는 것 이다 이것을 클래스리스 라고 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클래스 범위가 없어진 것 이다 클래스풀에서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것이 앞자리 숫자다 예를들면 10.2.3.4 는 앞자리 숫자 10에 의해 A클래스가 된다 170.2.3.4.는 앞자리 숫자 170이 B클래스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B클래스가 된다 이것이 어떤 문제가 되냐? A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는 고정적으로 255.0.0.0 이다( /8 ) B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는 고정적으로 255.255.0.0 이다( /16 ) C클래스의 서브넷 마스크는 고정적으로 255.255.255.0이다 ( /24) 클래스 풀에서는 서브넷 마스크를 표기하지도 않고 인식도 못하기 때문에 저 네트워크 범위를 나눌수도 없고 변경할수도 없다 그래서 A클래스의 경우는 네트워크의 범위가 너무 넓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힘들고 IP낭비도 심하다 그래서 나온것이 클래스 리스이다 클래스 리스는 말 그대로 클래스의 범위를 서브넷 마스크를 표기하여 나눈것이다 네트워크 10.0.0.0 255.255.255.0 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클래스 풀은 서브넷 마스크를 인식을 못하기 때문에 10.0.0.0~10.255.255.255가 네트워크 범위가 되는 것 이다 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