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와 스위치의 차이점
허브의 기능 부터 말하자면 케이블을 연결할수 있는 포트가 있다 포트의 갯수에 따라 `몇 포트 허브다` 라고 말을 한다 포트의 갯수만큼 장비를 연결할수 있는 것이다 랜카드가 설치된 각각의 pc를 케이블을 타고 허브의 포트로 연결하면 연결된 pc끼리는 통신이 가능하다 (물론 인터넷은 안된다 -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인터넷 공급업체와 연결된 라우터와 연결이 되어야 한다) 허브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포트에 연결된 모든 장비에게 재전송을 한다 *내가 요청하지 않은 데이터라도 같은 허브에 연결된 다른 사람이 데이터를 요청했다면 나한테도 데이터가 들어온다 다만 PC에 있는 랜카드에서 걸러진다(PC의 자원소모) 허브에 연결된 각 장비들은 랜카드에서 데이터(프레임)을 보고 목적지의 맥 주소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면 cpu에 보내고 일치하지 않으면 차단한다 허브는 토큰링용 허브와 이더넷용 허브 가 있다 허브는 대부분 이더넷용 허브가 사용된다 (네트워크에서 이더넷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기 때문) 이더넷 허브는 이더넷의 CSMA/CD 의 적용을 받는다 CSMA/CD는 한명의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사용중일때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사용자들은 네트워크를 사용할수 없다 즉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사용이 불가능하고 1명씩만 사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이더넷 특성때문에 허브에 연결된 A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중일때 B사용자는 데이터를 전송할수 없다 A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중일때 B사용자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콜리전(충돌)이 일어난다 따라서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장치들은 같은 콜리전 도메인 (Collision Domain)이라고 한다 콜리전 도메인안에 있는 장치중 하나가 데이터를 전송중이면 콜리전 도메인안에 있는 다른 장치들은 데이터를 전송할수 없다 이러한 허브를 셰어드(Sh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