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세크먼트(Segment)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한 실질적인 전송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할한 조각 (아래 TCP Header Format 참조)
-패킷(Packet)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다루는 내용
전송을 위해 분할된 데이터 조각(세그먼트)에 목적지까지의 전달을 위하여 Source IP 와 Destination IP가 포함된 IP Header가 붙은 형태의 메세지
프레임(Frame) OSI 7계층의 데이터링크 계층(Dara Link Layer)에서 다루는 내용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패킷에 해더(맥 주소 포함)와 CRC를 위한 트레일러가 붙은 메세지
-Source port: src 포트
-Destination Port: dst포트
-Sequence Number: 전송되는 데이터의 바이트 순서 번호, 랜덤한 숫자가 들어감
-Acknowledgement Number: 수신측에서 앞으로 받고자 하는 바이트 순서 번호, 마지막으로 받은 데이터에 seq+1 을 더함
-Herder Length- 목적지 호스트에게 TCP 헤더 크기를 4byte 단위로 표현해 알림 (TCP헤더 시작부터 데이터 이전까지 길이)
-Reserved: 예약된 필드 (offset)
-TCP Flags
-SYN (Synchronization:동기화) - S : 연결 요청 플래그
TCP 에서 세션을 성립할 때 가정 먼저 보내는 패킷, 시퀸스 번호를 임의적으로 설정하여 세션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며 초기에 시퀸스 번호를 보내게 된다.
-ACK (Acknowledgement) - Ack : 응답
상대방으로부터 패킷을 받았다는 걸 알려주는 패킷, 다른 플래그와 같이 출력되는 경우도 있다.
받은사람이 보낸사람 시퀸스 번호에 TCP계층에서 길이 또는 데이터 양을 더한 것과 같은 ACK를 보냅니다(일반적으로 +1 하여 보냄) ACK 응답을 통해 보낸 패킷에 대한 성공, 실패를 판단하여 재전송 하거나 다음 패킷을 전송한다.
-RST (Reset) -R : 강제 종료
재설정(Reset)을 하는 과정이며 양방향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중단 작업이다. 비 정상적인 세션 연결 끊기에 해당한다 이 패킷을 보내는 곳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곳과 즉시 연결을 끊고자 할 때 사용한다
-PSH(push) -P : 밀어넣기
TELNET 과 같은 상호작용이 중요한 프로토콜의 경우 빠른 응답이 중요한데, 이 때 받은 데이터를 즉시 목적지인 OSI 7계층의 Aplication 계층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FLAG, 대화형 트래픽에 사용되는 것으로 버퍼가 채워지기를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를 전달한다, 데이터는 버퍼링 없이 바로 위 계층이 아닌 7계층의 응용프로그램으로 바로 전달한다
.
-URG (Urget) -U : 긴급 데이터
Urgent pointer 헤더를 참조하여 어디~어디까지 우선 보내달라고 우선순위로 요청
-FIN (Finish) -F :연결 종료 요청
세션 연결을 종료시킬 때 사용되며 더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나타낸다.
-Placeholder
패킷의 플래그에 SYN, FINISH, RESET, PUSH 등의 플래그가 설정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플래그가 세팅된다. 이 플래그는 ACK플래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2가지로 나눌수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과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인접한 라우터에게만 정보를 전달하고 목적지 까지의 메트릭 정보만을 알고있다 하지만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에 접속되어있는 네트워크정보 라우터와 인접한 라우터 정보등을 광고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목적지 까지 가는 메트릭값과 인접한 라우터의 정보만 알고있고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전체적인 구성을 파악하고 있다 디스턴스 벡터는 표지판을 보며 목적지를 찾아가는 방식이고 링크 상태는 지도를 보며 찾아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OSPF와 IS-IS가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링크 https://leejoongwon.tistory.com/2
라우팅 프로토콜이 여러개일때 라우터는 AD값으로 우선순위를 정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경우 AD값이 가장 낮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계산한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다 (AD값 표)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 : 0 로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정적 경로 : 0 넥스트 홉 IP 주소를 사용한 정적 경로 : 1 EIGRP 축약 경로 : 5 외부 BGP : 20 내부 EIGRP : 90 OSPF : 110 IS-IS : 115 RIP : 120 외부 EIGRP : 170 내부 BGP : 200 * 정격 경로는 관리자가 직접 지정한 경로이다 명령어 : ip route [목적지 IP]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목적지로 가는 자신의 포트] 또는 ip route [목적지 IP]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목적지로 가는 인접한 라우터(넥스트 홉 라우터) IP주소] *네트워크 축약이란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표시하는것을 말한다 1.축약을 하면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여 경로를 검색하는 시간이 빨라지고 2.라우팅 체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라우터의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3.라우터에게 자신의 정보를 알려줄때 라우팅 업데이트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대역폭을 절약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내부 네트워크는 동일한 AS 번호 내에서 네트워크를 지정한 것이고 외부 네트워크는 redistribu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재분배시킨 네트워크이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는 디스턴스 벡터와 (distance vector)와 링크 상태 (link state) 프로토콜로 분류할수 있다 디스턴스 벡터는 거리에 따른 경로설정방식이다 distance-거리 , vector-크기 즉 거리에 따른 메트릭(metric)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디스턴스 벡터의 종류 로는 RIP,EIGRP,BGP등이 있다 이 프로토콜들은 인접 라우터들에게 자신을 통하면 특정 네트워크까지 가는 메트릭 값이 얼마인지 광고한다 디스턴스 벡터 프로토콜은 인접 라우터들에게만 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에 라우터 입장에선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알지 못하고 어떤 포트로 가면 목적지 네트워크의 메트릭이 얼마인지만 알고있다 경로를 결정할때 경로가 여러곳이라면 가장 낮은 메트릭값쪽으로 경로를 결정한다 디스턴스 벡터의 특징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라우팅 알고리즘 (지연값,신뢰도,대역폭등등 여러가지 변수를 제외하고 단순하게 거리와 방향만을 이용하여 경로결정을 하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하다)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목적지 까지 가기 위해 거쳐갈 인접 라우터만 저장 (라우터 메모리 절약) - 인접 라우터끼리만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 관리 (디스턴스 벡터는 인접한 라우터끼리만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이 바뀌면 모든 라우터까지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 A-B-C라우터가 있을 경우 A가 업데이트하면 B에게만 전송 C라우터는 B의 업데이트 주기까지 기다려야함) - 루핑이 발생할수 있다 (이것은 디스턴스 벡터의 문제점인데 인접한 라우터끼리만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A-B-C 라우터가있을때 A라우터에 연결된 a네트워크가 다운되었을때 A라우터의 테이블에는 업데이트 되지만 B와 C라우터는 아직 A...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