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2가지로 나눌수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과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인접한 라우터에게만 정보를 전달하고 목적지 까지의 메트릭 정보만을 알고있다 하지만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에 접속되어있는 네트워크정보 라우터와 인접한 라우터 정보등을 광고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목적지 까지 가는 메트릭값과 인접한 라우터의 정보만 알고있고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전체적인 구성을 파악하고 있다 디스턴스 벡터는 표지판을 보며 목적지를 찾아가는 방식이고 링크 상태는 지도를 보며 찾아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OSPF와 IS-IS가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링크 https://leejoongwon.tistory.com/2
라우팅 프로토콜이 여러개일때 라우터는 AD값으로 우선순위를 정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경우 AD값이 가장 낮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계산한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다 (AD값 표)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 : 0 로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정적 경로 : 0 넥스트 홉 IP 주소를 사용한 정적 경로 : 1 EIGRP 축약 경로 : 5 외부 BGP : 20 내부 EIGRP : 90 OSPF : 110 IS-IS : 115 RIP : 120 외부 EIGRP : 170 내부 BGP : 200 * 정격 경로는 관리자가 직접 지정한 경로이다 명령어 : ip route [목적지 IP]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목적지로 가는 자신의 포트] 또는 ip route [목적지 IP]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목적지로 가는 인접한 라우터(넥스트 홉 라우터) IP주소] *네트워크 축약이란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표시하는것을 말한다 1.축약을 하면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여 경로를 검색하는 시간이 빨라지고 2.라우팅 체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라우터의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3.라우터에게 자신의 정보를 알려줄때 라우팅 업데이트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대역폭을 절약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내부 네트워크는 동일한 AS 번호 내에서 네트워크를 지정한 것이고 외부 네트워크는 redistribu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재분배시킨 네트워크이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는 디스턴스 벡터와 (distance vector)와 링크 상태 (link state) 프로토콜로 분류할수 있다 디스턴스 벡터는 거리에 따른 경로설정방식이다 distance-거리 , vector-크기 즉 거리에 따른 메트릭(metric)값의 크기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디스턴스 벡터의 종류 로는 RIP,EIGRP,BGP등이 있다 이 프로토콜들은 인접 라우터들에게 자신을 통하면 특정 네트워크까지 가는 메트릭 값이 얼마인지 광고한다 디스턴스 벡터 프로토콜은 인접 라우터들에게만 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에 라우터 입장에선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알지 못하고 어떤 포트로 가면 목적지 네트워크의 메트릭이 얼마인지만 알고있다 경로를 결정할때 경로가 여러곳이라면 가장 낮은 메트릭값쪽으로 경로를 결정한다 디스턴스 벡터의 특징 -거리와 방향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라우팅 알고리즘 (지연값,신뢰도,대역폭등등 여러가지 변수를 제외하고 단순하게 거리와 방향만을 이용하여 경로결정을 하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하다)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목적지 까지 가기 위해 거쳐갈 인접 라우터만 저장 (라우터 메모리 절약) - 인접 라우터끼리만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 관리 (디스턴스 벡터는 인접한 라우터끼리만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이 바뀌면 모든 라우터까지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 ( A-B-C라우터가 있을 경우 A가 업데이트하면 B에게만 전송 C라우터는 B의 업데이트 주기까지 기다려야함) - 루핑이 발생할수 있다 (이것은 디스턴스 벡터의 문제점인데 인접한 라우터끼리만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A-B-C 라우터가있을때 A라우터에 연결된 a네트워크가 다운되었을때 A라우터의 테이블에는 업데이트 되지만 B와 C라우터는 아직 A...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