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2가지로 나눌수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과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인접한 라우터에게만 정보를 전달하고 목적지 까지의 메트릭 정보만을 알고있다 하지만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터에 접속되어있는 네트워크정보 라우터와 인접한 라우터 정보등을 광고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목적지 까지 가는 메트릭값과 인접한 라우터의 정보만 알고있고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전체적인 구성을 파악하고 있다 디스턴스 벡터는 표지판을 보며 목적지를 찾아가는 방식이고 링크 상태는 지도를 보며 찾아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은 OSPF와 IS-IS가 있다 *디스턴스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링크 https://leejoongwon.tistory.com/2
라우팅 프로토콜이 여러개일때 라우터는 AD값으로 우선순위를 정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경우 AD값이 가장 낮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계산한 경로가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다 (AD값 표)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 : 0 로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정적 경로 : 0 넥스트 홉 IP 주소를 사용한 정적 경로 : 1 EIGRP 축약 경로 : 5 외부 BGP : 20 내부 EIGRP : 90 OSPF : 110 IS-IS : 115 RIP : 120 외부 EIGRP : 170 내부 BGP : 200 * 정격 경로는 관리자가 직접 지정한 경로이다 명령어 : ip route [목적지 IP]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목적지로 가는 자신의 포트] 또는 ip route [목적지 IP] [목적지 서브넷 마스크] [목적지로 가는 인접한 라우터(넥스트 홉 라우터) IP주소] *네트워크 축약이란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표시하는것을 말한다 1.축약을 하면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여 경로를 검색하는 시간이 빨라지고 2.라우팅 체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라우터의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3.라우터에게 자신의 정보를 알려줄때 라우팅 업데이트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대역폭을 절약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내부 네트워크는 동일한 AS 번호 내에서 네트워크를 지정한 것이고 외부 네트워크는 redistribute 명령어를 사용하여 재분배시킨 네트워크이다
(4계층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TCP연결과정 -TCP 데이터의 encapsulation 과정 -TCP 세크먼트 (Segment)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한 실질적인 전송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로 분할한 조각 (아래 TCP Header Format 참조) -패킷(Packet)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서 다루는 내용 전송을 위해 분할된 데이터 조각(세그먼트)에 목적지까지의 전달을 위하여 Source IP 와 Destination IP가 포함된 IP Header가 붙은 형태의 메세지 프레임(Frame) OSI 7계층의 데이터링크 계층(Dara Link Layer)에서 다루는 내용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패킷에 해더(맥 주소 포함)와 CRC를 위한 트레일러가 붙은 메세지 -Source port: src 포트 -Destination Port: dst포트 -Sequence Number: 전송되는 데이터의 바이트 순서 번호, 랜덤한 숫자가 들어감 -Acknowledgement Number: 수신측에서 앞으로 받고자 하는 바이트 순서 번호, 마지막으로 받은 데이터에 seq+1 을 더함 -Herder Length- 목적지 호스트에게 TCP 헤더 크기를 4byte 단위로 표현해 알림 (TCP헤더 시작부터 데이터 이전까지 길이) -Reserved: 예약된 필드 (offset) -TCP Flags -SYN (Synchronization:동기화) - S : 연결 요청 플래그 TCP 에서 세션을 성립할 때 가정 먼저 보내는 패킷, 시퀸스 번호를 임의적으로 설정하여 세션을 연결하는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