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내 차이점은
-주소 : PPP는 1대1 직접 링크이므로 주소가 필요없다
(PPP는 항상 주소값이 11111111로 설정됨 - 2진수 : 255 / 16진수 : 0xFF로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다)
HDLC는 다중접속이 가능하다
-제어필드 : PPP는 항상 00000011으로 고정
HDLC에서는 제어필드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 I , S , U 프레임)
PPP에서는 제어필드에 어떤 값이 들어가더라도 사용되지 않는다 (무시)
(HDLC형태의 프레임이 들어왔을 경우 PPP는 제어필드의 정보 I , S , U를 인식 못하기 때문에 무시하고 있는 그대로 프레임을 만든다)
- 데이터 링크상에서 통신은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PPP - PPP , HDLC - HDLC 다만 라우터같은 네트워크 계층 장비를 거치고 다시 데이터 링크에서 통신하는 경우에는 가능하다
(라우터A)- HDLC-HDLC -(라우터B)-PPP-PPP-(라우터C)-HDLC-HDLC-(라우터D)
-프로토콜 필드 : 프레임 내부의 정보 필드에 담겨있는 프로토콜을 표시
(PPP는 IP , IPX , Apple Talk등등 3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위해 존재한다)
* HDCL도 3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기는 한다
다만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들이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과 HDLC 프로토콜이 통신 할 때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하기 떄문이다 (시스코의 HDLC의 Proprietary 필드 )
위에가 시스코의 HDLC이고 밑에가 표준 HDLC이다
(시스코 뿐만 아니라 각 제조사마다 HDLC가 다른 경우가 있다)
HDLC가 서로 다른 이유는 각 제조사마다 제조사 자체의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장비의 역할은 같지만 각 회사마다 추가기능이 조금씩 다르고 그 추가기능을 수행하기위해 자체적인 프로토콜을 개발)
제조사 마다 HDLC가 다를 수 있기 떄문에 같은 제조사의 장비 끼리는 HDLC를 사용해도 되지만 제조사가 다른 경우 PPP를 이용하여 연결하면 된다
댓글
댓글 쓰기